📌 HTTP 1.1, 2.0, 3.0 차이점 항목 HTTP/1.1HTTP/2.0HTTP/3.0도입 시기1999년2015년2022년 (RFC 9114)전송 방식텍스트 기반바이너리 프레이밍QUIC 기반 (UDP + TLS 통합)연결 방식TCPTCPUDP멀티플렉싱❌ (동시 요청 시 성능 저하)✅ (한 연결에 여러 스트림)✅ (헤드라인 블로킹 완전 제거)헤더 압축❌✅ (HPACK)✅ (QPACK)성능 문제HOL Blocking 발생헤더만 HOL BlockingHOL Blocking 완전 제거보안 (암호화)선택적 (TLS)선택적 (TLS)TLS 1.3 필수서버 푸시❌✅✅ (하지만 브라우저 지원은 축소 중)브라우저 지원✅ 모든 브라우저✅ 대부분 브라우저 지원✅ (Chrome, Firefox, Edge 등 최신 브..
네이버(www.naver.com)에 접속할 때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아래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고 네이버 홈페이지가 표시될 때까지의 전체 과정입니다.1. URL 입력 및 브라우저 처리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브라우저는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URL 분석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분석하여 http:// 또는 https://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붙입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이를 https://www.naver.com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프로토콜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https가 사용됩니다.HS..
1. 웹 스토리지(Web Storage)란?웹 스토리지는 웹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저장소 기술입니다. HTTP 요청 없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어, 성능 향상과 사용자 경험 개선에 기여합니다.웹 스토리지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거나 브라우저 설정을 초기화하지 않는 이상 삭제되지 않음)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 브라우저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 (탭을 닫으면 자동 삭제됨)2. 웹 스토리지의 종류(1)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로컬 스토리지는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거나 브라우저 설정을 초기화하지 않는 한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HTTP Method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작업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각각의 메서드는 특정한 목적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올바른 메서드 사용은 RESTful API 설계에서 특히 중요합니다.1. HTTP Method의 종류와 특징1) GET용도: 서버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특징:요청 데이터는 URL의 쿼리 스트링에 포함됨.요청의 멱등성(Idempotent) 보장.캐싱이 가능.예시:GET /users?id=123 HTTP/1.12) POST용도: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리소스를 생성할 때 사용.특징:요청 데이터는 요청 본문(Body)..
웹 서핑을 하다 보면 여러 URL을 통해 다양한 사이트를 방문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했을 때, 어떤 과정을 거쳐 원하는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될까요?이는 웹의 기본적인 개념이지만, 막상 설명하려면 "렌더링", "파싱" 등 복잡한 용어들이 등장해 난감할 수 있습니다.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와 같은 오픈소스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브라우저가 동작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브라우저의 주요 기능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요청한 자원을 서버에서 받아와 화면에 표시합니다. 이 자원은 HTML 문서, PDF,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자원의 위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에 의해 결정됩니다.브라우저는 HTML과 CSS 명세를 따라 HTML ..
1. DNS란 무엇인가?DNS(Domain Name System)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연결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주요 역할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사용자가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DNS가 이를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여 연결합니다.인터넷 자원의 이름 관리: DNS는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이메일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 인터넷 자원의 이름을 관리합니다.DNS의 필요성사용자 편의성: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이해하기 쉬운 이름을 제공합니다.확장성: 인터넷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도메인 이름 체계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2. DNS의 작동 원리DNS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