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7

HTTP 1.1, HTTP2.0, HTTP3.0 차이점

📌 HTTP 1.1, 2.0, 3.0 차이점 항목 HTTP/1.1HTTP/2.0HTTP/3.0도입 시기1999년2015년2022년 (RFC 9114)전송 방식텍스트 기반바이너리 프레이밍QUIC 기반 (UDP + TLS 통합)연결 방식TCPTCPUDP멀티플렉싱❌ (동시 요청 시 성능 저하)✅ (한 연결에 여러 스트림)✅ (헤드라인 블로킹 완전 제거)헤더 압축❌✅ (HPACK)✅ (QPACK)성능 문제HOL Blocking 발생헤더만 HOL BlockingHOL Blocking 완전 제거보안 (암호화)선택적 (TLS)선택적 (TLS)TLS 1.3 필수서버 푸시❌✅✅ (하지만 브라우저 지원은 축소 중)브라우저 지원✅ 모든 브라우저✅ 대부분 브라우저 지원✅ (Chrome, Firefox, Edge 등 최신 브..

Web 2025.04.09

네이버(www.naver.com)을 검색하면 어떻게 동작할까?

네이버(www.naver.com)에 접속할 때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아래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고 네이버 홈페이지가 표시될 때까지의 전체 과정입니다.1. URL 입력 및 브라우저 처리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브라우저는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URL 분석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분석하여 http:// 또는 https://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붙입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이를 https://www.naver.com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프로토콜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https가 사용됩니다.HS..

Web 2025.03.20

DNS(Domain Name System)란?

1. DNS란 무엇인가?DNS(Domain Name System)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연결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주요 역할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사용자가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DNS가 이를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여 연결합니다.인터넷 자원의 이름 관리: DNS는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이메일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 인터넷 자원의 이름을 관리합니다.DNS의 필요성사용자 편의성: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이해하기 쉬운 이름을 제공합니다.확장성: 인터넷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도메인 이름 체계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2. DNS의 작동 원리DNS는 ..

Web 2025.01.08

HTTP와 HTTPS 정리

HTTP란 무엇인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주요 특징비암호화된 통신: HTT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쉽게 도청당할 수 있습니다.빠른 전송 속도: 암호화 과정이 없으므로 HTTPS보다 속도가 약간 더 빠를 수 있습니다. HTTP 동작 과정1. URL 주소 입력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 주소 입력예: https://www.example.com 2. DNS 서버 IP 변환 요청브라우저는 DNS 서버에 도메인(IP 변환 요청)www.example.com → 93.18..

Web 2025.01.08

TCP와 UDP: 무엇이 다를까?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는 TCP와 UDP라는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이 두 프로토콜은 인터넷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동작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제 TCP와 UDP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는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보장하는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입니다.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세그먼트 라는 블록 단위)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TCP와 IP를 함께 사용하는데, IP가 데이터의 배달을 처리한다면 TCP는 패킷을 추적 및 관리합니다. 연결 지향적●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서로 전화를 걸고 대화의 준비를 하는..

Network 2024.12.27

URI와 URL, 무엇이 다를까?

URI란?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이 URI라고 할 수 있습니다.URI의 구성 요소URI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URN (Uniform Resource Name): 자원의 "이름"을 식별합니다.예: urn:isbn:978-3-16-148410-0 (책의 ISBN 번호)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의 "위치"를 식별합니다.예: https://www.example.com/index.html또한, URI는 자원의 식별을 나타내는 쿼리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URL과 차이가 있습니다. ⬆️URL이란?URL(Uniform Resource ..

Web 2024.12.10

HTTP 프로토콜 정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인터넷 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아래에서 HTTP의 구조와 동작 방식, 주요 특징을 설명하겠습니다.HTTP의 기본 구조HTTP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으로 구성됩니다. 클라이언트(예: 브라우저)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이를 처리하여 응답을 반환합니다.요청(Request)요청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요청 라인: 메서드(GET, POST 등), URL, HTTP 버전헤더(Header): 클라이언트 정보, 데이터 형식 등 추가 정보본문(Body): 선택적으로 데이터(POST..

Web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