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 2

Spring AOP를 활용한 트랜잭션 관리 설정

Spring Framework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TransactionManagerConfig 클래스를 분석하며 Spring AOP 기반 트랜잭션 관리의 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전체 코드@Configuration@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TransactionManagerConfig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RANSACTION_METHOD_PATTERN =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RANSACTION_POINTCUT_EXPRESSION = "execution(* com.example.servi..

트랜잭션 격리 수준(Transaction Isolation Level)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여러 작업을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 처리합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일관성 있는 데이터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환경에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격리(isolation)를 필요로 합니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여러 트랜잭션 간의 격리 정도를 설정하는 기준이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완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습니다. 1. 트랜잭션 격리 수준의 종류SQL 표준에서는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다음 네 가지로 정의합니다:READ UNCOMMITTEDREAD COMMITTEDREPEATABLE READSERIALIZABLE각 수준은 트랜잭션 간에 발생할 수 있는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문제를 ..

DataBase 2025.01.20